본문 바로가기

책을 보다

[리뷰] 기본을 알려주는 <소프트웨어 설계의 정석>

 

생각보다 무겁지 않습니다.
제목에 '정석'이라는 단어가 있어서 딱딱할 거라 생각할 수 있지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성격 좋고 경험 많은 선배와 차 한잔 마시며 가볍게 고민 상담하는 분위기랑 비슷합니다.
현장에서 겪으며 익힌 소프트웨어 설계에 관한 내용입니다.

 

무겁지 않습니다

설계, 아키텍처, 방법론 자료를 찾다 보면 선뜻 접근하기 쉽지 않습니다.
방대한 범위, 빽빽한 내용, 만만찮은 분량에 '과연? 이걸? 내가?' 하는 생각이 저절로 듭니다.
우리가 원하는 건 프로젝트 성공입니다.
이를 위해 위해 알아야 할 것, 필요한 것, 생각해봐야 할 것으로만 짜여 있습니다.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습니다.

 

대상이 분명합니다

설계를 하다 보면 같은 말인데 서로 다른 얘기를 할 때가 있습니다.
동일한 대상을 얘기하지만 각자 머릿속에 그리는 이미지가 다르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상황을 벗어나고자 다양한 문서를 만듭니다.
일종의 결과물인데, 자칫하면 주객이 바뀝니다.
결과물을 어떻게 만들고,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부분은 거의 없습니다.
소프트웨어 설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전체를 살핍니다

다양한 이유로 설계는 수정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에 필요한 모든 걸 아는 상태에서 설계하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다고 알려줍니다.
애자일 방법론이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
'처음부터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변화에 대응'처럼 좋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이걸로 충분할 걸까?' 하고 되짚어 보게 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이 끝나면 개발팀은 해산하지만, 진짜는 그때부터 시작됩니다.
사용하며 발생하는 유지보수와 기능 확장은 반드시 있습니다.
그렇기에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전체에 걸친 설계를 얘기합니다.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하는 책입니다.
소프트웨어가 역할을 다하려면 어떤 설계가 필요한지 알려주는 좋은 길잡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