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스택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뷰] 풀스택으로 향해 가는 <전문가를 위한 리액트> "한빛미디어 서평단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리액트 덕후가 알려주는 리액트라고 하면 어떤 분위기 인지 짐작하실 수 있을 겁니다.읽는 도중 종종 들었던 생각이 이렇게 까지 알아야 하나 하는 거였습니다.그런 생각이 드는 부분에서는 저자도 어김없이 세세하게 알 것까지는 없다고 언급합니다.다만, 원리를 알아두면 전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고 의도를 명확히 합니다. 기본을 단단히리액트를 떠받치는 기둥인 JSX와 가상 DOM을 살펴봅니다.'무엇을 해야 하는가' 보다는 '어떤 맥락을 가지는가'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리액트를 사용하여 무엇으로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알아가는데 더하여,새로운 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시각이 가지는 힘을 보여주고자 합니다.리액트를 향한 믿음을 .. 더보기 [리뷰] 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찾아가는 < GraphQL과 타입스크립트로 개발하는 웹 서비스 > GraphQL과 타입스크립트. 웹, 그 가운데서도 서비스 개발과 관련된 분야에 관심이 있다면 심심치 않게 들어본 단어들이라 생각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들어는 봤으나 직접 사용하는 사람을 만나기는 쉽지 않습니다. 여러 웹 서비스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겠지만 겉으로 보기에 뒤에 뭐가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GraphQL과 타입스크립트로 이루어진 풀스택 프로젝트를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구성 구성은 크게 2개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부분은 GraphQL이 태어난 이유와 어떻게 작동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두 번째 부분은 하나의 프로젝트 전체를 보여줍니다. 개발을 위한 개념과 환경 구성으로 시작합니다. 프로젝트 개발하는 단계를 거쳐, 배포까지 알려줍..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