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리뷰] 당신이 아는 것과 모르는 것 <제품을 성공시키는 프로덕트 매니저의 비밀>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렇게 많은 일을 한다고?'였습니다.해당 업무에 종사하시거나 비슷한 일을 하고 있다면, 다들 그렇게 하고 있고 알고 보면 그렇게 어마무시한 건 아니라고 할 것 같기도 합니다.가만히 생각해 보면 다른 일도 비슷하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대상을 정의하고, 목표를 세우고, 방향을 잡은 뒤, 실행하여, 결과를 측정하고, 앞서했던 단계를 검토한다.다만, 업무마다 가진 나름의 특징을 감안한다면 질릴 정도는 아니라는 겁니다.그래서, 받아들이는 정도에 개인차가 있다는 정도로 정리했습니다. 몇 가지 키워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가치 창출(수익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가설, AB 테스트, 검증익히 아는 화면 기획서 관련 업무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크지 않습니다.회사 규모에 따라 다르다는 단서가 .. 더보기
[리뷰] 스토리를 전달하는 시각화 <핸즈온 데이터 시각화> 인공지능, 딥러닝을 얘기하는 기사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딥러닝이 있으려면 무수히 많은 데이터가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데이터가 있는 곳에는 편향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편향이 개입된 데이터가 판단과 결정을 왜곡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각화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비슷한 맥락을 가진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시각화가 가지는 힘 때문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데이터를 살피다 전달하려는 내용이 담겨있는 데이터. 그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내용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주어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데이터가 만들어지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참여한 사람도 늘어납니다. 그 얘기는 데이터 안에 다양한 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