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미디어 서평단 <나는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협찬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아키텍트를 생각하고 있거나 개발자이면서 일정 부분 아키텍트 역할도 해야 하는 분들, 개발자로서 능력치를 올리고자 하시는 분들이 보시기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명확하게 아키텍트라는 직함을 가진 경우를 만나기 어렵습니다. 아마 맡은 직무나 역할이 점점 세분화되고 있어서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이렇게 세분화되는 상황이 오히려 아키텍트적인 역량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전체를 아우르는 아키텍처와 각 기능에 특화된 아키텍처가 공존하는 시대입니다. 필요와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아키텍처를 사용해야 하지만, 요즘은 후자가 조금 더 각광받는 상황입니다. 이는 작은 서비스들을 연계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면서,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에서부터 아키텍트의 시각과 역할이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개발자로서 설계를 구현하고 테스트하다 보면 어느 순간 설계의 이유가 궁금해질 때가 있습니다. 그 이유를 따라가다 보면, 설계의 상황이나 의도, 트레이드오프를 위한 고려까지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알게 됩니다. 아직도 모르는 게 많다는 사실을. 안타까운 건 배워야 할 게 많음에도 불구하고 가야 할 방향을 알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다는 점입니다.
그런 분들께 이 책이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아키텍트를 세세하게 다루지 않지만 전체를 볼 수 있습니다. 각 영역에서 알아야 할 핵심을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다양한 부분에서, 아는 만큼 자극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소프트웨어 설계 설계 원칙이나 디자인 패턴에서 놓쳤던 부분을 발견하실 수도 있습니다.
아키텍처 설계에서는 고려해야 할 아키텍처를 만나거나 문서화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키텍츠 구현에서는 아키텍트의 역할과 구현 방향에 대해 살펴봅니다.
품질 보증과 테스트를 통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학습과 성장에서는 지식과 기술 습득 방법에 대한 저자의 제안을 알 수 있습니다.
굳이 아키텍트가 되지 않더라도, 이 책을 곁에 두고 가끔씩 열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신만의 목적과 이유를 바탕으로, 배우고 적용한 것들을 주변과 나누며 나만의 길을 만들어 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