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뷰] 빠른 구현과 확인을 위한 AWS <풀스택 서버리스> 『Full Stack Serverless 풀스택 서버리스』, 풀스택은 맞는 것 같고 서버리스는 글쎄요. 서버가 없다기보다는 보이지 않는다 또는 직접 서비스에 접근하지 않아도 된다는 게 좀 더 가까운 설명인 듯합니다. 정확하게는 서비스형 함수(FaaS)를 사용합니다.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최대한 빨리 구축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AWS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그러면서도 AWS가 제공하는 엄청난 서비스들을 파악해야 하는 부담은 없습니다. 나중에 특정한 서비스에 대해 배워야 할 상황을 만나게 된다면 좋은 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늘어났다는 뜻이니 그때 배우면 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최대한 빠른 애플리케이션 구축이 목표입니다. AWS를 사용하지만 서비스를 배우지는 않습니다.. 더보기 [리뷰] 단순한 앱 너머에 있는 것 <파이썬으로 살펴보는 아키텍처 패턴> 아키텍처, 정답이 있다기보다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 보니 이게 정답이라는 식으로 풀어나가면 다양한 상황과 여러 계층에서 대응할 수 있는데 과연 정답이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많은 생각과 다양한 시도를 필요로 하는 부분은 필연적으로 여러 제안과 방식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책은 제목 그대로 아키텍처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무질서를 벗어나고자. 아키텍처를 얘기할 때 만나는 개념들이 내용 안에 자연스럽게 녹아있습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는 것처럼 고민한 만큼 얻는다는 느낌을 책에서 받습니다. 일반적인 생성, 조회, 수정, 삭제를 넘어 생각해 보아야 할 화두를 던집니다. 책의 물리적인 분량은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루는 내용은 책의 분량을 넘어섭니다... 더보기 [리뷰] 어느덧 굳건하게 자리 잡은 <한 권으로 끝내는 Node & Express 2판> 굳이 노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읽어볼 가치가 있습니다. 웹 사이트 개발을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보여줍니다. 웹 사이트 개발에서 사용하는 개념들을 설명하고 익스프레스를 통해 어떻게 적용하는지 보여 줍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레임워크도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도 비슷한 개념을 사용하기에 용어가 다를 뿐이지 처리 방식이나 개념은 유사하다고 봅니다. 다른 프레임워크를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코드를 보고 대략 어떤 의미인지 알 수 있는 정도로 감을 잡을 수 있다면 읽는데 크게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더라도 코드를 명확하게 이해하고자 한다면 읽는 도중에라도 몇가지만 알아보면 많은.. 더보기 [리뷰] 딥러닝과 수학 잘 아는 친구 <친절한 딥러닝 수학> 딥러닝과 수학 잘 아는 친구가 옆에서 도와주는 느낌입니다. 대충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감이 오고 풀 수 있을 것 같은 문제인데 막상 풀기 시작하면 풀어갈수록 수식이 복잡해지는 문제를 만났던 경험이 떠오릅니다. 조금 복잡해 보이기는 하지만 못 풀 문제로는 안 보이는 문제. 하지만 시도할 때마다 번번이 꼬이고 막히는 문제. 결국 성격 드러내게 만드는 문제. 왜 안 풀리지 하며, 반에서 수학 잘하는 친구에게 문제를 들고 가 도움을 요청합니다. 그 친구가 한동안 문제를 요리조리 살펴보더니 씩 웃습니다. 도형이 관련된 문제라면 전혀 생각지도 못했던 곳에 줄을 한두 개 스윽 긋습니다. 방정식 문제라면 그렇지 않아도 복잡해 보이는 수식에 엉뚱한 값과 변수를 추가합니다. 어랏, 제대로 꼬아서 만들어진 듯 보였던 문제가.. 더보기 요소의 특정 속성에 따라 배열 요소를 정렬하기 배열을 요소로 가지는 배열 요소들을 요소의 특정 속성 순서로 정렬하고 싶습니다. 참고, object를 요소로 가지는 배열에도 적용됩니다. 아래 배열 요소를 날짜(a_date) 순서대로 정렬하고 싶습니다. Array ( [0] => Array ( [a_idx] => 24316 [a_title] => (테스트) 하나둘 셋 [a_date] => 2020-08-13 ) [1] => Array ( [a_idx] => 1382 [a_title] => 홍보자료 테스트 [a_date] => 2020-01-22 ) [2] => Array ( [a_idx] => 1383 [a_title] => 교육자료 123 [a_date] => 2021-03-08 ) [3] => Array ( [a_idx] => 24317 [a_tit.. 더보기 31일에 다음 달 구하기 주어진 날짜 또는 현재 날짜의 다음 달을 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날짜에 한 달을 더해 다음 달을 구합니다. 주어진 날짜가 31일이면 한 달 더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습니다. 날짜가 31일이면 한 달이 아닌 하루나 이틀 같은 날짜를 이용하여 다음 달을 구해야 합니다. var target = new Date('2021-02-01'); target.setMonth(target.getMonth() + 1); console.log(target); // Date Mon Mar 01 2021 09:00:00 GMT+0900 (대한민국 표준시) target = new Date('2021-02-28'); target.setMonth(target.getMonth() + 1); console.log(target); /.. 더보기 [리뷰] 터미널, 막막함을 벗어나는 한걸음 <처음 배우는 셸 스크립트> 터미널을 열 때마다 까만 바탕화면에 깜빡이는 커서를 보며 막막하다고 느끼는, 셸 스크립트에 적응하기 힘들어하는 분. 잊을만하면 하게 되는 리눅스 서버 작업 때문에 비슷한 내용을 다시 검색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 한심스러워 보일 때가 있는 분. 셸 스크립트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은 없으나 자주 사용하는 패턴만 사용하는데 아쉬움을 느끼는 분. 궁극적으로 조금 더 게으르고 싶은 분을 독자로 하고 있습니다. 셸 스크립트가 어려운 분에게 도움말 명령어보다 친절한 안내자입니다. 자주 사용하거나 알아야 할 내용을 예제와 함께 설명합니다. 특히 각각의 설명에 모두 예제가 함께 있습니다. 명령어를 사용하다 답답함을 느끼거나, 바르게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해질 때 열어 보았던 도움말. 하지만, 그 도움말을 열 때마다 만났던 막.. 더보기 [리뷰] 시작과 균형잡기 <플러터 인 액션> 플러터로 앱을 개발하시려는 분들, 플러터가 처음이긴 하지만 프로그래밍이 처음은 아닌 분들을 독자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 완성도 있는 앱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 큰 줄기를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앱 완성에 얽매이지 않고 플러터를 알려주는데 집중합니다.. 앱 개발 단계를 따라가며 보여주는 건 플러터를 보다 더 잘 설명하기 위한 방식일 뿐입니다. 각 주제를 연결하는 방식이나 서로 연관된 주제를 보여주기 위해 코드를 사용합니다. 곳곳에 참고할 url을 주석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책은 저자가 알려주고 싶어 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길잡이일 뿐임을 일깨워 준다고 할까요. 좀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내용, 저자와 다른 견해, 책의 범위를 넘어서거나 자세한 설명이 있는 url입니다. 알아야 할 ..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0 다음